한국 경제 1%대 저 성장의 깊은 덫에 갇히는 건가?

‘잃어버린 성장 동력’의 경고등이 켜졌습니다.






2025년, 1%대 저성장 현실화가 되었습니다. 구조적 한계 맞이한 한국 경제 위기죠..

2025년 한국 경제에 대한 주요 기관들의 전망치는 충격적입니다. 

KDI는 1.6%, 한국은행은 1.9%, IMF는 2.0%, 그리고 현대경제연구원은 고작 0.7%의 성장률을 예측하고 있는데요. 전년 대비 낮아진 수치이며, 특히 민간기관의 비관적 전망이 눈에 띕니다.
이는 단순한 경기 둔화를 넘어 잠재성장률조차 넘기 어려운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어요.

2025년 1분기 GDP 성장률은 -0.1%, 무려 4분기 연속 제자리걸음.....
‘정체’라는 단어가 피부로 느껴지는 상황입니다.




왜 이렇게까지 된 걸까?

내수·투자·수출… 전방위 하방 압력
국내 소비 심리 급속 냉각
고금리와 정치적 불안정(탄핵 정국, 계엄 논란 등)이 소비를 얼려버렸습니다. 
특히나 2025년 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5.2로 기준선(100)을 크게 하회를 했어요.

건설 경기 부진 심각
2024년 건설 투자는 -2.7%, 2025년에도 -1.2% 역성장이 예고됩니다. 부동산 PF대출 구조조정 지연, 건설사 재무 위기 등이 맞물려 공사 자체가 멈춘 현장도 속출 중이죠.
->2024년 4월 건설업 생산 -20.5% 기록… 사실상 ‘멈춘 엔진’ 상태.

수출 둔화, 반도체도 흔들
2024년 6.9%였던 수출 증가율이 2025년에는 1.8%로 급감할 전망입니다. 특히 한국 수출의 핵심인 반도체조차 기대 이하. 미국의 관세정책 변화, 글로벌 수요 둔화가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인구 구조 변화 – 저성장의 뿌리
고령화·저출산이 가져오는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이제 성장률에 직격탄을 날리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2030년엔 잠재 성장률이 1.3%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죠.

고용은 줄고, 민생은 더 어려워진다
건설업이 위축되는 상황은 고용 시장을 정면으로 때리고 있습니다.
2024년 12월, 건설업 취업자 15만7천 명 감소에 
2025년 전체 취업자 증가폭도 10만 명에 불과할 전망입니다.

수출과 내수 동반 부진 ->기업 매출 감소 ->고용 축소 ->소비 여력 하락
이 악순환 속에서 실질소득은 줄고 체감 경기는 얼어붙고 있어요.





돌파구는 있을까?
"이젠 성장 방식 자체를 바꿔야 할 때입니다"

사실 현재의 단기적인 경기 부양책만으론 답이 안 보입니다. 
왜냐면 정치 불확실성과 대외 변수(미국발 정책 변화 등)가 너무 큰 것이 현실입니다..
기존 방식의 정책 효과가 반감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금리 인하? -> 물가 자극
긴축 유지? -> 성장 더 위축
이런 딜레마 속에서 ‘저성장 + 고물가’ 혹은 ‘저성장 + 저물가’라는  
답 없는 답답답한 조합이 이어지고 있죠.


그래서 필요한 건?
노동시장 개혁!!
생산성 향상 정책!! 
인구 구조 대응을 위한 이민 정책이나 자동화 지원!!
중장기 산업 구조 재편!! 

이 뿐만이 아니라 더 심도 있는 방법을 찾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과거 고도성장기의 프레임을 벗어나, ‘새로운 성장 패러다임’을 설계할 시점입니다.

꼭 꼭!!! 우리는 우리는! 이겨낼 수 있습니다!! 화이팅!!!!!



다음 이전